칼럼마당

역사칼럼

문화재 보호에 앞장서는 국민

나석주(羅錫疇) 열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05-08-02 17:10 조회26,822회 댓글0건

본문



나석주(羅錫疇) 열사


a-1-12.jpg\"



1890년~1926.12.28

<주요공적>


·1920년 황해도에서 결사대를 조직하여 군자금모집, 친일파 처단 활동



·1920년 중국으로 망명, 이후 의열단 등에 가입하여 군자금 모집 활동



·1926년 식산은행 폭파 기도, 동양척식회사 폭탄 투척후 일경과 총격전 끝에 자결 순국






1890년. 황해도 재녕군 북률면 진초리

이곳은 당시 애국계몽운동단체인 신민회(新民會)의 서북지방 책임자인 백범 김구(白凡 金九) 설립한 양산(楊山)학교가 있었다.
백범과 나열사의 운명적인 인연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아버지 나병헌(羅秉獻)과 어머니 김해김씨(金海金氏) 사이의 외아들 석주(錫疇)가 태어났기 때문이다.
서당에서 한문을 배운 소년 석주는 양산학교를 거치며, 몸과 마음이 굳센 독립투사로 다져진다.



황해도 재녕(載寧) 출생



1919년 독립만세운동이 이 지방까지 번지면서부터 청년이 된 석주는「고기가 물을 만난」듯, 우리의 독립운동사에 큰 획을 그은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3월 하순, 어느날. 사리원 부호 초병항(崔秉恒)의 집에 6인조 권총강도단이 들었다. 이들은 모두 복면을 하고 있었다.
강도들은 답지않게 모두 최부자에게 엎드려 절을 했다. 최부자도 그제서야 좌정을 하고 냉정을 찾았다. 그때 한 복면이 앞으로 나서며 입을 열었다.

『저희들은 일반강도가 아니라 조국의 독립을 꾀하기 위해 군자금(軍資金)을 마련하러 온 젊은이들입니다.』

말뜻을 알아차린 최부자는 잠시 무엇인가를 생각하는 눈치였다. 한동안 무거운 침묵이 흘렀다. 오히려 6인조 강도들이 불안한 눈치를 보였다.

『너, 석주로구나! 그 복면을 쓰고 있을 필요가 없다. 그래, 춘부장 어른께서도 편아하신가?』

깜짝놀란 석주는 복면을 벗고 최부자 앞에 조아렸다. 나머지 다섯명도 얼굴을 드러냈다. 김덕영(金德永) 최호준(崔皓俊) 최세욱(崔世郁) 박정손(朴正孫) 이시태(李時泰) 등이 그들이었다.

『내가 지금 가지고 있는 돈이 이것밖에 없으니 유용하게 쓰도록 하게나!』

최부자가 「강도들」에게 내놓은 돈은 무려 6백30원(圓)이었다. 이것은 당시로서는 엄청난 거액이었다.

6인조는 크게 감동, 엎드려 큰 절을 드린다음, 인사를 올렸다.

『저희들이 떠나고 나면 즉시 왜경에 연락하여 권총강도를 당했다고 신고하십시오. 왜경이 눈치채면 봉변을 당하십니다』



6인조 강도 사건



6인조 강도단은 4월에도 다시 안악(安岳)부호들인 김응석(金應石) 원형락(元炯洛)으로부터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그 활동이 신출귀몰하였다.
수사망이 좁혀들기 시작하자 나석주는 중국으로 망명길에 올랐다.
1920년 11월 22일이었다. 「6인조 연쇄강도사건」은 영구미제(永久未濟)로 남았다.



백범 지도받아 상해에서 군자금모집 활동



나석주는 상해에서 은사인 백범을 다시 만난다. 당시 백범은 임시정부 경무국장(警務局長).
이때부터 나석주는 스승의 지도를 받으며 독립우동을 계속하게 된다. 임정 경무원·의정원(議政院) 근무와 함께 한인애국단·의열단 가잉로 폭파활동과 군자금 모집활동이 전개되었다.

이동휘(李東輝)가 세운 무관학교 등에서 전술전략을 연마했다.

1926년 나석주의 생에에 가장 중요한 이이 다겨오기 시작했다. 그것은 저명한 독립운동가인 김창숙(金昌淑)과의 만남이었다.
그해 5월 김창숙과 백범은 국내외 정세를 토론하며 독립운동의 방향을 함께 모색했다.
이들 두 거두(巨頭)는 「지금 무엇인가 횃불을 올리지 않으면 잠자고 있는 민족혼을 영원히 깨우쳐주지 못한다. 이때에 왜정기관(倭政機關)과 친일부호(親日富豪)를 박멸하여 국내동포의 잠자는 정신을 일깨워야 한다」는 방략(方略)에 일치를 보았다.
이를 실행할 인물에 대한 얘기가 와갔다.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할 일이었다. 김구가 먼저 제의를 했다.

『나와 친한 결사대원으로 나석주 이화익과 같은 용감한 청년이 지금 천진(天津)에 있다. 또 그곳에는 의열단원도 많으니 무기를 구입, 천진으로 가서 기회를 보는 것이 좋겠다.』

김창숙은 두명의 조선청년을 만났다. 그리고 계획을 설명했다. 둘은 거침없이 나섰다.

『우리들은 일찍이 한번 죽기로 결심했는데, 어찌 사양하겠습니까』

나석주로 결정이 되었다. 이화익은 섭섭한 눈치를 숨기지 않았다. 김창숙이 말했다.

『백범도 그대의 장도(壯途)를 학수고대하고 있소. 민족의 고혈을 빨고 있는 식산은행(殖産銀行)과 동양척식회사가 그대의 손에 폭파되는 날 일제의 간담이 서늘할 것이며, 잠자고 있는 조선의 민족혼이 불길처럼 다시 타오를 것이오. 대의를 위한 무운(武運)을 비는 바이오』

「중국 산동성 출신. 나이 35세. 이름 마중덕(馬中德)」

1926년 12월 26일. 인천항에 상륙한 이 중국인은 다름아닌 나석주였다. 마중덕은 열차를 이용, 진남포로 향했다.



민족혼 일깨우려 단신으로 서울로… 동양척식회사에 폭탄투척 장거



고향을 떠날 때 한마디 이별의 말을 하지 못한 부모님과 부인, 아들·딸을 보고싶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귀향길에서 그는「일제의 삼엄한 경계가 고향등지에 펼쳐져 있다」는 정보를 듣게 된다.
나석주는 바로 발길을 서울로 돌렸다.
피눈물이 흘렀다.

중국인 전용여관「동춘(同春)전」. 1926년 12월 28일. 날씨는 투명했으나, 조국의 겨울바람은 차가웠다.
나석주는 아침밥을 든든하게 들었다. 그리고 낮이 될 때까지 거리를 배회했다. 오가는 동포들의 표정이 어두었고, 슬프게 느껴졌다.



들리지 않는 폭음(爆音)>



하오 2시 5분. 나석주는 식산은행으로 들어가 폭탄을 던졌다. 그러나 굉음(轟音)은 들리지 앟았다. 이게 웬일인가!

뒷벽 기둥에 던져진 폭탄은 불발(不發)이었다. 절망적인 생각이 찰나처럼 스쳐지나갔다. 폭탄을 입수할 때 시험을 하지 못한 점, 6개월간의 보관기관중 뇌관에 녹이 슬었을지도 모른다는 점이 회한(悔恨)으로 남겨졌다. 그러나 다행히 일인들이 눈치를 체지 못했다. 나석주는 태연하게 정문을 나섰다.

『그렇다면, 이젠 동척(東拓)이다!』



“2천만 민중이여 분투하라” 일경과 총격전 끝에 장렬히 자결



동척으로 들어서면서부터 나석주는 기민하게 움직였다. 1층에서 왜인 1명을 권총으로 사격하고, 2층으로 뛰어올라가 또다른 왜인에게 사격한 뒤 놀라 도망가는 퇴지개량부 간부들을 거꾸러뜨렸다.
그리고 기술과장실에 나머지 폭탄 1개를 힘껏 던졌다. 쏜살같이 1층으로 뛰어내려오며 2명의 왜인들에게 총격을 가하고 거리로 나와 폭음을 기다렸다. 그러나 이게 또 웬일인가!

하늘이 무너져 내리듯이, 시야가 노랗게 변해갔다. 황금정(黃金町)(지금의 을지로1가) 쪽에서 달려온 경찰을 쏘아 쓰러뜨릴때까지도 폭발음은 들리지 않았던 것이다.
황금정2정목에 이르렀을 때에는 왜경들의 포위망이 완전히 좁혀졌다. 나석주는 운집한 군중을 향해 외쳤다.


『나는 조국의 자유를 위해 투쟁했다. 2천만 민중아, 분투하여 쉬지 말라!』


나석주는 3발을 쏘았다. 그것은 해방(解放)의 날을 준비하기 위한 장렬(壯烈)한 불꽃이었다.




* 관리자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7-28 13:4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